대명사 종류
데브나가리 글자는 다 알고 왔다고 가정하고 속전속결로 정리해보겠다. 우선 힌디어의 대명사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인칭대명사의 기본 | |||
단수형 | होना 호응 | 복수형 | होना 호응 |
मैं (메, mai) | हूँ (훙 hun) | हम (함, ham) | हैं (헤ㄴ - hain) |
तू (뚜, tu) तुम (뚬, tum) |
है (헤 hai) हो (호 ho) |
आप (압, aap) | हैं (헤ㄴ - hain) |
यह (예ㅎ, yeh) | है (헤 hai) | ये (예, ye) | हैं (헤ㄴ - hain) |
वह (워ㅎ, woh) | है (헤 hai) | वे (웨, we) | हैं (헤ㄴ - hain) |
मैं = I 라는 뜻이다. 이게 나중에 후치사 में 랑 발음이 매우 유사해서 상당히 헷깔린다. हम = we 라는 뜻이다. 간혹 러크나우나 어떤 인도 도시에서는 I라고 사용하지 않고 I를 हम 으로 사용하는 곳이 있다. 신과 내가 함께 있기 때문에 '우리'라고 표현한다는 내가 보면 약간 오바스러운 느낌이긴하다.
तू , तुम , आप 은 모두 너 당신 혹은 여러분 정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때 이건 존댓말과 반말의 개념이 들어간다. तू 의 경우는 정말 비하 하거나 너무너무 친할 경우에만 사용하며 तुम도 우타르 프라데시 주 같은 곳에서는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는 그런 단어이다. आप을 보통 사용하는데, 펀잡 지방에서는 이 आप 이 거리감이 느껴진다고 तुम 을 또 주로 사용한다. '너'는 단수인데 왜 복수에 갖다 놨는지는 조금 이따가 설명하겠다.
यह는 this로 사용되고, ये는 these 로 사용된다. वह 는 that 이나 he/she로 사용되고, वे는 those나 they로 사용된다. 이 때, वह 는 वो로 정말 많이 사용한다. 현지에서 वह로 사용하는 경우를 거의 만나보지 못했다.
이때, 각각의 be동사의 변형처럼 am/are/is 에 해당되는 것은 होना 동사이고 그에 각각에 맞는 변형이다. है 와 हैं 의 차이는 콧소리의 차이다 헤 - 라고 했을 때, 헤 를 목으로 낼 수 있고 헤 - 를 콧소리를 섞어서 낼 수 있는데 후자는 코를 막고 소리를 내면 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be 동사가 바뀌듯이 저렇게 호응을 꼭 외워둬야 한다.
이 때, Be 동사의 과거 형과 미래형은 아래와 같다.
होना 동사 과거 | |
단수 | 복수 |
था / थी | थे / थीं |
था / थी | थे / थीं |
था / थी | थे / थीं |
था / थी | थे / थीं |
개 쉽다. हूँ , है ,हो 는 모두 था (타 tha) 로 바뀐다. 여성일 때는 थी (티 thi) 로 바뀐다. 복수형인 경우 हैं 는 थे (the) 로 여성형일 경우 थीं (티-ㄴ thin)으로 바뀐다.
그런데 미래형이 조금 어렵다. 왼쪽은 남성형이고 오른쪽은 여성형이다.
मैं हूँ -> होऊंगा (호웅가, hounga) / होउंगी (호웅기, houngi)
तुम हो -> होगे (호게, hoge) / होगी (호기 hogi)
यह , वह -> होगा (호가, hoga) / होगी (호기, hongi)
ये , वे -> होंगे (홍게, honge) / होंगी (홍기, hongi)
명사 형용사는 Type 1,2로 나뉜다.
힌디어의 명사는 남성형과 여성형으로 나뉜다. type 1,2로 나눠서 아래와 같이 보통 설명한다.
남성형 명사 | 여성형 명사 | |
type 1 | लड़का (단수) - > लड़के (복수) | लड़की (단수) -> लड़कियां (복수) |
type 2 | घर (단수) -> घर (복수) | भाषा (단수) -> भाषाएं (복수) |
힌디어는 불가산 명사 가산 명사 이런거 없고 다 단수 복수로 처리한다. 영어의 불가산 명사가 힌디어에서 복수인 경우는 여러가지 종류라고 보면 된다. 남성형명사 type1 규칙은 -े 로 변하면되고 여성형 명사 type1 규칙은 - यां 이 붙으면 된다. 대신에 맨 뒤에가 장음 ी 였을 경우에 단음 ि 로 변하게 되는 것이 있다. type2 규칙은 남성형 명사는 안 바뀐다. 여성형 명사 type2는 -एं 이 붙게 된다.
형용사도 마찬가지로 변하게 되는데, type1는 변하는 형용사고 type2는 변하지 않는 형용사이다. type1의 예를들면 अच्छा लड़का , अच्छे लड़के 가 있고 अच्छी लड़की 이렇게 말할 수 있다. 그런데 type2의 सुंदर लड़का, सुंदर लड़की, सुंदर लड़कियां 이렇게 pretty에 해당하는 सुंदर는 그냥 변하지 않고 사용된다.
의문 대명사
영어에서는 5W1H 이런식으로 얘기하는데, 힌디어에서는 क्य - sentence라고 이야기 한다.
의문대명사 | |
누가 | कौन (꼬온 ,kaun) |
언제 | कब (깝, kab) |
어디서 | कहँ (까하-ㅇ, kahan) |
무엇을 | क्या (꺄, kya) |
어ㄸ (어떻게, 어떤) | कैसा (께싸, kaisa) कैसी (께씨, kaisii) कैसे (께쎄, kaise) |
얼마나 | कितना (끼뜨나, kitna) कितनी (끼뜨니, kitni) कितने (끼뜨네, kitne) |
왜 | क्यों (쿄-ㅇ, kyon) |
의문사는 이런식으로 얘기하게 된다. 이 때 하나 주의할 것은
क्या आप दिल्ली से हैं ?
आप दिल्ली से हैं क्या ?
आप क्या काम करते हैं ?
이라고 할 때, 위에 2가지는 क्या가 의문 조동사화 되는 것인데, 세 번째의 क्या는 what이 되는 것이다. 단순 의문문은 क्या 를 붙이면 되지만, क्या 가 중간에 오면 what이 된다는 점을 기억하자.
'일상 > 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적으로 활용하기 좋은 영어 관용어구 모음. (0) | 2025.02.04 |
---|---|
[Word power made easy] How to talk about personality types (0) | 2024.07.26 |
[영어 문법] 역접과 순접의 접속사들 (3) | 2024.07.24 |
원어민 처럼 영어를 하고 싶으면, 전치사를 기억해야 한다. (7) | 2024.07.23 |
[영어 문법] 관사 (a/an, the) 이렇게 생각하면 조금 더 쉽다 (0) | 2024.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