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56

공조냉동기계기사 상태변화에 따른 습공기선도 분석 공조냉동기계기사 공기조화의 기본과 습공기선도(사이코메트릭 차트) 매우 간략 요약공기조화 파트 기사 기출 풀어보니 계산은 실기에 때려 박은 느낌 1. 공기조화  (1) 4대 구성 요소 : 온도, 습도, 기류, 청정도     1) 보건용 공조 : 인간을 위한 공기조화임 (사무실이나 병실 등jhhistory.tistory.com상태변화가 발생에 따른 습공기 선도 분석 1. 현열 난방 - 절대 습도가 일정하다고 봄   (1) OA가 들어와서 Heating Coil에 의해 가열이 되는 상황임     Q = m dot ( kg/s) * (h2-h1) [kJ/kg] = [kJ]     근데, 옛날 버전으로는 이걸 kcal /kg K 로 많이 썼다고 함     m dot (kg/s) = ρ (kg/m^3) * V do.. 2025. 4. 14.
공조냉동기계기사 공기조화의 기본과 습공기선도(사이코메트릭 차트) 매우 간략 요약 공기조화 파트 기사 기출 풀어보니 계산은 실기에 때려 박은 느낌 1. 공기조화  (1) 4대 구성 요소 : 온도, 습도, 기류, 청정도     1) 보건용 공조 : 인간을 위한 공기조화임 (사무실이나 병실 등)    2) 산업용 공조 : 기계를 위한 공기조화임 (반도체 공장, UPS 실 등)   (2) 유효온도    1) 유효온도 (=실효온도, 감각온도) :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온도 - 보건용 공조에 속함     → 온도, 습도, 기류    2) 수정유효온도 : 복사열을 고려한 온도임       → 온도, 습도, 기류, 복사열    (3) 공기조화의 구성 (밑에 노트한 것의 diagram을 기억해야 함. 이 구성의 순서가 기출로 좀 나옴)     1. OA (외기)가 들어오면 혼합공기 룸에서 RA(Re.. 2025. 4. 13.
공조냉동기계기사 브라인 냉매와 다단 압축에 대해 (공부 기록) 브라인냉매 (2차냉매, 간접냉매, 현열교환) 브라인 냉매란 2차냉매, 간접냉매, 현열 교환하는 냉매라고 보면 됨 냉동 사이클을 직접 순환하지 않고, 액체로써 현열을 운반함.  (1) 종류   1) 무기질 브라인 : 부식성이 높다   → 염화나트륨(식품 냉동용, 가격이 낮음) > 염화마그네슘 > 염화칼슘 (제빙용, 공업용, 저온용, 떫은 맛)  2) 유기질 부라인 : 부식성이 낮다   → 에틸렌 글리콜 > 프로필렌글리콜 (냉동식품)  > 에틸알콜 (식품의 초저온)> 메틸알콜 (초저온)  (2) 브라인의 구비조건  1) 비열이 커야함 : 현열 교환을 해야하기 때문에 상변화를 하지 않고 열용량이 커야하기 때문  2) 순환 효율이 좋을 수록 에너지가 덜 들어 간다.   → 점도가 낮아야 함   3) 공정점이 (.. 2025. 4. 6.
공조냉동기계기사 암모니아와 프레온가스 냉매 비교 냉매란? 1. 정의 : 냉매는 대기압 하 쉽게 증발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함. 2. 종류 : 직접 냉매와 간접 냉매가 있음.  2-1. 직접 냉매 : 냉동 사이클을 직접 순환하는 냉매를 말함. → 잠열 교환, 상 변화가 있다.  2-2. 간접 냉매 : 냉동 사이클을 직접 순한하지 않고 다른 장치에 있는 냉매를 말함. → '브라인 냉매'라고 하고 현열 교환  3. 조건  :  3-1. 대기압 내 증발, 응축, 액화가 용이해야함. (그래야 상변화를 통한 잠열 교환이 가능)   3-2. 임계온도가 상온보다 높아야하고 (높을 수록 좋고) 응고 온도가 낮을 수록 좋다.        → 임계점을 넘어가면 상 변화가 안되기 때문, 응고 온도가 낮을 수록 증발기에서 뺏어오는 열이 많음.  3-3. 증기의 비열 및 증발 .. 2025. 4. 2.
공조냉동기계기사 증기 분사식 냉동기와 카르노 사이클 증기 분사식 냉동기 - 증기 분사식 냉동기는 '이젝터'와 같은 노즐이 중요함. - 노즐을 거치면 교축 현상 (압력, 온도 감소, 엔탈피 일정)이 일어나는 것을 이용한 냉동방식임 1. 증발기에서 냉수(~30℃)를 주입해서 그 냉수가 차갑게 되면서(~5℃) 실내로 불어 들어가서 에어컨이 된다고 이해하면 됨2. 근데 이 냉수를 차갑게 하기 위해 냉매(←이게 순환 냉매)가 지나가는 배관이 지나감3. 그 냉매는 이젝터 쪽으로 흘러감 4. 이젝터에서는 고온 고압의 증기를 넣어서 저온 저압의 증기 (엔탈피 일정)로 교축현상 일어나고 있음.5. 그래서 냉매가 저온 저압인 곳으로 이동하면서 증발도 됨6. 그래서 증발기를 지나는 배관이 차가운 상태고 냉수를 차갑게 해주는 원리라고 함.7. 이젝터 쪽으로 이동한 증발된 증기.. 2025. 3. 30.
공조냉동기계기사 흡수식 냉동기 원리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자 열역학 하면서 압축식 냉동기만 배웠었다. 보통 냉동공학에서는 p-h 몰리에르 선도에 의한 압축식 냉동기만 배운다. 엑서지나 여타 냉동 사이클로 들어가도 역 카르노 기관에 의한 냉동사이클만 보통 가르치는데, 공조냉동기계기사를 에듀강닷컴 강의를 듣다 보니 흡수식 냉동기라는 재미있는 게 있어서 기억해 볼 겸 남겨본다. 구성요소 구성요소는 발생기(재생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흡수기 이렇게 구성된다. 부 요소로는 쿨링타워와 FCU (Fan Coil Unit) 그리고 HEX (heat exchanger)가 있다. 냉매의 종류로는 물(H2O)또는 암모니아 (NH3)를 사용하는데, 전자의 경우 흡수재를 LiBr(리튬브로마이드), 후자의 경우 H2O를 사용한다. LiBr은 물먹는 하마라고 생각하면 된다. .. 2025.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