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어학

[영어 문법] 가정법(Conditionals) 끝내기, 이렇게만 알면 된다.

by JHistory_ 2024. 7. 18.
반응형

가정법은 3가지 종류가 있다.

 가정법은 세가지 종류가 있다. 다들 어렸을 때 어떻게 배웠는지는 모르겠으나, 이렇게 말하는게 정석이다. First conditional, Second conditional, Third conditional. 3이 약간 의미적으로 별개이고, 1,2는 비슷하다. 무슨 차이가 있느냐? 자, 일단 예를들어 나랑 친구가 있는데 나는 복권을 구매했고, 친구는 복권을 구매하지 않았다고 생각해보자.

Conditional 1 ( First conditional ) 

  Conditional 1으로 문장을 구사하려면 반드시 현실성이 있어야 한다. 이때, 친구가 물어봤다. 너 복권에 당첨되면 뭐할거야? 그럼 나는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복권에 당첨되면, ~ 할 거야. 이것이 바로 Conditional 1이다. 근데, 이건 내가 대답했기 때문에 conditional 1이다.

 1. 문장 구조

 If I win the lottery, I will buy a luxury car.  (내가 복권에 당첨된다면, 비싼 차를 살거야.)

 I will buy a luxury car if I win the lottery (절의 순서를 바꿔도 되지만 if가 뒤로오면 comma는 생략한다.)

 

 따라서 이 문장구조에서의 일반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If + Subject + V1 , S + will / may / can + V1 

 

 2. 부정문 ?

이 때, if절을 'Conditional clause', 뒤에 절을 'result clause'라고 한다. (조건절 / 결과절) 

그리고 당연히 부정 문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ex) If I win the lottery, I won't work any more.  (복권에 당첨되면, 나는 더 이상 일을 안 할거야)

 ex) I won't buy a luxuary car if I don't win the lottery. (나는 비싼 차를 사지 않을 거야, 복권에 당첨되지 않으면)

 

3. 의문문?

 의문문을 구사할 때는, result clause의 조동사 (auxiliary verbs) 부터 시작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ex) Will you buy a luxuary car if you win the lottery? (너 비싼 차 살거야 복권에 당첨되면?)

  -> Yes I will, No I won't 

 

Conditional 2 ( Second Conditional )

  Conditional 2로 대답하려면 가능성이 아예 없어야 한다. 아까 상황에서 나는 복권을 샀고 친구는 복권을 안샀다. 그럼 내가 친구한테 물어볼 수 있다. 너 복권 당첨되면 뭐 할래? 나는 복권 당첨되면 럭셔리 차를 살거야 !

 

 If I won the lottery, I would buy a luxary car

 

 느껴지는가? 바로 시제를 과거로 사용해주어야 한다.

 

 If + S + V2,  S+ would / might / could + V1 (동사 원형이어야 하므로) 

 

 이렇게 문장을 구사하여야 가능성 없는 일에 대한 가정법의 올바른 형태이다. 부정문과 의문문으로 활용하는 것은 conditional 1과 같은 방식으로 구사하면 된다.

 

 또한, 한 가지 특수한 형태가 있는데 한국에서는 이 문장을 제일 처음에 가르치기 때문에 conditional 1,2 의 개념이 혼재된다.  

 

 If I were you, I would take the job.

                       I wouldn't take the job.

 

 즉, Conditional 2에서는 be 동사의 과거 형태로 사용할 경우 were로 사용해줘야한다.

 

Conditional 3 (Third Conditional)

 문장의 형태는 그냥 하나 더 과거로 가는 것이긴 한데, 약간 느낌이 다르다. 저번 modal 조동사에 관련해서 '~할 수 있었다.' 라는 느낌의 문장이 있었다. 1월에 회장 선거에 나갔는데, 떨어졌고 3월에 친구와 그에 대해 얘기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해보자.

 

 내가 선거에 이겼었더라면, 장학금 증가를 위해 일했을 거야 

 

 If I had won the elections, I would have worked for raising scholarship

 If S + had + V3 (past perfect), S+ would + have + V3

 

저번 modal 완료에서 would + have + p.p는 능력의 부재로 상황이 안되어서 task 자체를 수행을 못하는 의미의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would + have + V3로 문장이 구성되어야 한다. 

 

부정문의 사용도 자유롭다.

 

 If I had studied harder, I would have passed the exam.

                                       I wouldn't have failed the exam.

 

 If I hadn't wasted time, I would have passed the exam.

                                        I wouldn't have failed the exam.

 

의문문도 똑같이 사용하면 된다. would가 먼저 앞으로 나오는게 자연스럽다.

Would you have passed the exam if you had studied harder?

 

 

 

 

 


*modal perfect

 

https://jhhistory.tistory.com/entry/%EC%98%81%EC%96%B4-%EB%AC%B8%EB%B2%95-Modal-perfect-%EC%A1%B0%EB%8F%99%EC%82%AC-%EC%99%84%EB%A3%8C-modal-verb-have-pp

 

[영어 문법] Modal perfect 조동사 완료 (modal verb + have + p.p)

조동사 완료에 관한 5가지 용법 나도 헷갈렸던 Modal perfect에 대해서 기술해보겠다. modal을 찾아보니 '조동사'정도로 해석되는 것 같아서 일단 그렇게 썼다. 예전에 사용했던 auxiliary verb가 어원적

jhhistor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