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공학

공조냉동기계기사 공부 내용 요약 남기기 챌린지 - 1

by JHistory_ 2025. 3. 24.
반응형

회사 업무에서 냉매 및 냉동 공조 등 업무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

 되어서 일단 그냥 자격증 바로 가보기로 했다. 자격증 '만' 원하는 것이라면 바로 기출 돌리기를 했어야 하나, 결국에 업무에 써먹어야 하기 때문에 적당한 이론 공부를 천천히 하면서 시험을 보기로 마음을 먹었다.

 

오늘의 요약

 1-1. 냉동기초

 압축 응축 팽창 증발 이렇게 4가지 요소로 냉동 사이클이 구성된다 

 

(1) 압축 

 압축기에서는 말 그대로 압축한다.

 그래서 고온 고압 상태로 만든다.

 피스톤 같은 것이 꽉 눌러서 기체를 압축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압축하고 빠져나온 기체는 고온 고압이다. (~80℃ 수준)

 압축이 잘 되면 잘 될수록 응축이 잘 된다.

 

(2) 응축

 응축기에서는 기체를 응축한다. 

 응축이 된다는 것은 기체에서 액체로 액화가 된다.

 에어컨의 실외기에 해당한다.

 응축하고 빠져나온 액체도 아직은 고온 고압이라고 여긴다. (~30℃ 수준)

 액화가 잘 될수록 팽창이 잘 된다.

 

(3) 팽창

 팽창기에서는 액체를 팽창한다.

 팽창의 개념은 분무기 같이 슝~하고 쏴버리는 것이다.

 그걸 무화 라고 한다.

 물리적으로는 교축 상태이다. (압력과 온도가 감소, 엔탈피는 constant)

 액체 알갱이가 가늘어졌다고 보면 된다.

 팽창하고 빠져나온 액체 저온 저압이다. 

 

(4) 증발

 증발기에서는 액체가 증발한다.

 에어컨의 실내기에 해당한다.

 -5℃ 정도 되는 냉매가 액체 상태인데, 여기에 실내 온도를 팬으로 불어준다.

 그러면 열교환을 통해 냉매는 기화가 되고, 열을 뺏어가서 실내온도를 낮춰준다.

 증발하고 빠져나온 기체저온 저압이다.

 

 

1-2. 몰리에르 선도 (p-h선도)

 이건 열역학 기본 때 배우는 내용인데, 다 영어로 배웠어서 용어를 배우는 게 어려웠다.

임계점 - critical point (상 변화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점)

임계점 왼쪽 선 - 포화액선

임계점 왼쪽 선을 넘어간 구역 - 과냉각구역

임계점 오른쪽 선 - 포화증기선

임계점 오른쪽 선을 넘어간 구역 - 과열습기구역

선에 둘러 쌓인 부분 - 습증기구역

 

1-3. 압력

 (1) 대기압 = 1 atm = 760mmHg = 1.0332kg/cm^2 = 10.33 mH2O

  =101.325 kPa = 1.01325 bar = 14.7 PSI

 

 (2) 절대압력 = 게이지 압력 + 대기압 (게이지 압력이 대기압 보다 높은 경우 )

혹은 절대압력 = 대기압 - 진공압력 (게이지 압력이 대기압 보다 낮은 경우)

 

 1-4. 온도 

 (1) 노점온도 = 이슬점 

 (2) 섭씨, 화씨 변환 개념

 섭씨는 0~100, 화씨는 32~212라서 100과 180으로 나눈 것이었다.

 그래서 F = 180/100*섭씨 + 32로 계산해 주면 된다. 

 (180/100 = 9/5로 표기할 수 있어서 그렇게 표기하는 것)

 

 1-5. 열량과 비열

 (1) 정의 : 어떤 물질 1kg를 1℃올리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비열이라고 정의함

 (2) 종류 

   1) 1 kcal  : 물 1kg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2) 1 BTU : 물 1lb 1 F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3) 1 CHU : 물 1lb 1℃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 1차 냉매의 경우는 비열이 낮을수록 냉매의 특성이 좋으나

 2차의 냉매의 경우 (브라인 냉매)는 비열이 높을수록 냉매의 특성이 좋다.

 

 전자는 잠열 교환으로 적은 에너지로도 상 변화를 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렇고

후자는 현열 교환으로 큰 열용량을 통해서 온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그렇다.

 

 (3) 정압비열, 정적비열, 비열비

  1) 정압비열은 압력이 일정할 때의 비열 : cp

  2) 정적비열은 부피가 일정할 때의 비열 : cv

  3) 비열비는 cp/cv이고 항상 1보다 크다.

  

 k가 크면 압축기에서의 토출가스 온도가 높으며 암모니아 냉매가 보통 그렇다.

이 경우 장비 손실이 우려되기 때문에 water jacket을 사용한다.

 

c= 1(물), 0.24(공기), 0.5(얼음), 0.44(수증기)

k=  1.313(NH3), 1.1365 (RCB) 1.184(R22), 1.4(공기)

 

 

* 유튜브 에듀강닷컴 TV 이론 편을 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